view_/책_

<평화, 그 아득한 희망을 걷다> 관련 수경 님과 주고받은 글

Soli_ 2013. 2. 23. 13:56

페이스북에서 한수경 님과 주고받은 글



간사님, 안녕하세요. 한수경이에요. 잘 지내시지요.


책을 읽다 문득 궁금하여 여쭤보려구 몇 자 적어요. (원래는 쪽지로 살짝 여쭤보려 했는데, 혹 저처럼 궁금해할 사람들도 있을 듯해서 공개적으로 적습니다. 그리고 제가 또 책 읽다가 편집자적 궁금증은 참기가 어려워서요.. ^^)

뒤늦게 평화, 그 아득한 희망을 걷다 읽고 있어요. 송강호 쓰다, 라고 되어 있네요. 간사님은 판권에 구성, 이라고 되어 있구요. 전 편집하신 줄 알았는데.. 구성이란 게 뭔지 궁금.. 그러니까 책 내부를 보니 프롤로그는 유가일 자매가 쓰신 게 명확한데, 그 다음 챕터부터는 명확하지가 않네요. 송강호 박사님이 쓰신 부분은 인용처리 되어 있는 부분이 아닌가요? 썼다기 보단 말씀하신 걸 글로 잘 정리하신 거라고 생각되는데.. 그럼 그 외의 부분은 누가 작성한 건지.. 저로선 모호해 보이네요. 편집자가 쓴 글인지, 그 부분도 송박사님이 쓰신 건지, 아님 구성이라 되어 있는 김진형 간사님께서 쓰신 건지.. 저는 일단 1부 개척자들 이야기까지 다 읽은 상태랍니다. 


너무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기도 하고, 그 부분을 누가 써느냐에 따라, 편집의 관점에서 제 개인 소견도 있고 해서, 여쭤보게 됐어요. 귀찮지 않으시면 저의 궁금증을 풀어주실래요? 

간사님 답변을 듣기 전 먼저, 이 말씀 드리 싶어요.. 정말 좋은 책이라는 거요.. 저자나 책의 내용도 물론이지만 이 책이 저자가 홀로 완성한 책이 아님을 감안할 때 더더욱 빛이 나는 책이라는 점, 독자로서 말씀드리고 싶네요. 그럼 답변 기다려도 돼요?




수경 님, 

적지 않은 분들이 물어보신 질문입니다. 그럴 때마다, 짐짓 답변하기가 좀 그랬지요. 자칫 저자분께 누가 되지는 않을지 걱정스러웠던 까닭입니다. 

송강호 박사님은 이 책을 만들던 당시 수감 중이셨고, 저에게 주어진 것은 인터뷰 녹취록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녹취 원고엔 인터뷰어의 존재감이 없었고, 강정마을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독자들이 바로 송강호 박사님의 이야기에 몰입하는 것이 상당히 버거워 보였습니다. 이에 유가일 님의 글을 보강한
 프롤로그 2장을 제가 썼고, 1-2부는 인터뷰이의 입장에서 내레이터의 역할을 하였지요. 직접 인용된 부분은 송강호 박사님의 것이 맞고, 내레이터 부분은 박사님의 이야기에 대한 저의 반응을 제가 쓴 것이지요. 

'송강호가 쓰다'라고 표지에 앉혔지요. 여기서 '쓰다'란 표현은, 그분이 온몸으로 써내려간 증언이란 의미를 부여하고 싶어서 붙인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박사님은 마지막까지 자신이 단독 저자로 앉혀지는 것을 반대하셨고, 저자/구성 표기는 순전히 출판사의 결정이었습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저자 송강호/구성 김진형으로 판권에 앉혔고, 편집도 제가 맡아 했습니다. 

이와 관련된 과정은 제가 블로그에 정리해 놓은 것이 있습니다.http://soli0211.tistory.com/122
관심, 고맙습니다.




네.. 친절한 답변 감사해요. 블로그도 들어가서 읽어봤어요. 이 책을 읽으면서도 짐작은 했는데 책이 나오는 산고의 고통을 찐하게 겪으신 듯하네요. 그런 고통을 통해 귀한 책을 출산해 주신 것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하게 되구요. 


그치만 감히 이런 말씀 드리게 되네요. 저의 쓸데없는 의견이지만, 저자는 송강호 박사님 의견 대로, 공동저자로 가는 게 맞는 것 같다는. 글의 처음부터 끝까지 내용은 온전히 송강호 박사님이 온몸으로 쓰신 게 맞긴 하지만... 글의 구성과 인터뷰 중간중간을 연결하는 글이 기계적이지 않고, 이 책의 분위기를 만들고 이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니, 이 책을 읽는 독자들, 혹은 예민한 독자로서는 의아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그런 의미에서 독자에게는 살짝 불친절한 책이라고나 할까.. ^^;; 표지의 서지사항만으론 오해의 소지가 있으니.. 그치만 공동저자로 이름을 넣는 것에 부담이 크셨을 마음도 충분히 이해가 가네요. 그렇다면 일러두기에 좀더 친절하게 그 부분을 명시해 주셨으면, 더 좋았겠다, 그런 아쉬움이 큽니다. 이 책은 분명 저자이신 송강호 님의 생각과 흐름 외에 구성하고 편집하신 간사님의 생각과 흐름이 면면히 스며져 있는 원고니까요. 그 부분을 확연하게 명시해주셨다면 독자로서 더욱 신뢰감을 갖고 몰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아쉽게도 읽으면서도 내내, 인용 부분 외에 이 책을 중심 잡는 이 명문장들을 누가 쓴 건지, 궁금하느라 100% 몰입을 방해받았거든요.^^;; 물론 간사님이 쓰셨으리라 짐작은 했지만요. 이제 와서 쓸데없는 의견 말씀 드려 죄송하네요.


그나저나 딴 생각 하나 더. 
간사님께서 평전을 쓰시면 어떨까.. 너무 근사하겠다, 뭐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이 책을 구성하고 편집하시느라 불멸의 밤을 보내고 고통을 겪으셨다는 글 읽고 나서도 이런 말을 하니, 제가 얄미우실 듯..^^;;; 그래도 암튼.. 앞으로 어떤 일을 하실지 잘 모르지만, 글쓰기와 관련된 일을 하시면 좋겠다고.. 멀찍이서 희망해봅니다. *^^*




저도 <평화> 만들면서 꽤나 고민했던 부분입니다. 가일 님도 그렇고 책에 등장하는 무명의 내레이터도 그렇고, 송강호가 저자인데 처음엔 3인칭이었다가 1인칭으로 바뀌기도 하고... 이런 복잡한 구성을 어떻게 통일성 있게 엮을 것인지에 대해. 만들고 난 뒤 조금 후회도 되었지요. 하지만 그렇게 결정된 과정 중에는 여기선 다 말하지 못할 어떤 사정이 있었지요. 그리고 글... 가슴속 열망이 있지요. 어찌 될지는 저도 잘 모르겠어요. 수경 님의 희망, 속깊은 위로이자 격려로 새기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