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_/책_

2014년, 올해의 책_기독교

Soli_ 2014. 12. 19. 21:51

"2014, 올해의 책_기독교" 선정의 변 

기독교의 한 매체로부터 "2014 올해의 책" 선정을 의뢰받아 작성한 원고입니다. '올해의 책'을 두 권 선정하고, 각 분야별 추천 도서를 2권씩 추천하도록 요청 받았습니다. ★ 그 매체는 부문병 후보 목록을 주었는데, 일부 분야는 후보에 없는 책을 선정했습니다(예를 들면, 기독교 문학 분야에선 ≪플래너리 오코너≫를 선정했지요). ★ 출판사 균형을 요청받았지만, 저로선 출판사 안배를 고려하는 것이 오히려 불공정하다고 생각하므로... 출판사 균형은 전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결국 제 추천 목록에는 출판사 편중이 무지 심합니다. 저의 편향성이 반영되었으므로 어쩔 수 없겠지요). ★ 물론, 제가 읽거나, 최소한 만져 본 책으로만 선정했으므로, 제가 접하지 못한 책들은 제외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기독교 책을 많이 읽지 못했으니, 그 점에 조금 안타깝습니다.  ★ '올해의 책'은 두 권을 선정했는데, 한 권은 원서가 1967년에 출간된 책이고 한 권은 국내에서 두 번째 출간된 책이라는 점이 조금 아쉽습니다. 다음엔 국내 저자의 책을 뽑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14년, 올해의 책




≪디트리히 본회퍼≫ (에버하르트 베트게, 복있는사람) ★★★★★

십 수 년이 넘도록 국내에 이 책이 출간되기를 고대하였으므로, 이 책이 출간되는 그 해 ‘올해의 책’은 이미 정해져 있었을 것이다. 본회퍼의 가장 권위 있는 전기다. 디트리히 본회퍼란 존재를 아로새기는 것이 이처럼 오랜 기다림을 필요로 하였듯이, 우린 그 기다림의 시간 이상으로 이 책을 곁에 두고 읽어야 할 것이다.  


≪상처 입은 예언자 헨리 나우웬≫ (마이클 앤드루 포드, 포이에마) ★★★★★

이 책은 헨리 나우웬에 대한 가장 좋은 전기로 꼽힌다. 그러나 나우웬에 대한 가장 좋지 못한 전기로 국내에 출간된 적이 있었다. 그가 평생 아파했던 동성애적 기질과 우울증 증세를 다루는 상당 대목을 임의로 삭제하고 편집한 채로 출간된 것이다. 한국 기독교의 상업적 욕망은, 나우웬의 반쪽만 소화했다. ‘상처 입은 예언자’ 나우웬을 이해하기 위해, 우린 그 고통을 읽어야 한다. 나우웬에 대한 가장 좋은 전기가 포이에마에서 다시 출간되었다. 원래의 텍스트를 복원했단다. 나우웬을 제대로 독해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상업적 욕망이 아닌, 그의 영성을 깊이 이해하고 실천하는 독자들로 하여금, 이 땅에 다시 ‘나우웬의 계절’이 오길 바란다. 정말이지 “나우웬은 보물”이므로. 



 




2014년, 분야별 추천 도서




≪플래너리 오코너≫ (플래너리 오코너, 현대문학) ★★★★★

39살의 나이에 작고한 소설가 플래너리 오코너를 굳이 기독교 작가로 구분하고 싶지는 않다. 다만, 모든 빛나는 문학의 성취는 기독교적 진리와 공명한다고 믿는다. 특히, 오코너의 문학은 더욱 직설적으로 그것을 성취한다. 오코너는 무력하고 비참한 사람들을 주목한다. 그러나 값싼 동정은 사양한다. 적절한 거리감이 확보된 작가의 시선은, 보잘것없는 그들 삶에서 발휘되는 적절한 위트를, 작고 소소한 감동을, 빛나는 경이를 포착해 낸다. 오코너의 첫 번째 번역본이 현대문학과 문학수첩에서 출간되었다. 반가운 소식이다. 


≪초기 기독교 사상의 정신≫ (로버트 루이스 윌켄, 복있는사람) ★★★★

기독교는 권력을 쟁취하고 세력의 확장을 도모하면서 나락에 빠지기 시작했다. 오늘날 기독교인으로 산다는 것은 숱한 부끄러움을 감당해야 하는 숙명을 각오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왜 그 숙명을 거스를 수 없는가. 그럼에도 어찌 할 수 없는 복음에 대한 압도적인 확신 때문이다. 그 확신의 요체가 이 책에 담겨 있다. ‘초기 기독교’는, 어쩌면 역사적으로 거의 유일한 기독교였는지도 모른다. 


≪신, 자유, 악≫ (앨빈 플랜팅가, SFC) ★★★★

하나님은 왜 악을 허용하는가? 이 질문은 이 시대에 참으로 적실하다. 이 오랜 질문에 대한 수많은 답변이 있었지만, 그 시도는 번번이 실패하였다. 악의 담론이 기독교 신학의 범주 안에서만 통용되는 언어적 한계 때문이었을 것이다. 복음의 본질이 상당 부분 언어의 깊은 속성에서 비롯된다고 확신하는 나는, 그 언어적 한계로 인한 실패는, 오늘날 기독교의 실패와 관련 있다고 추론한다. 이 책은 그 한계에 도전한다는 점. 그것이 이 책에 대한 몇 가지 사소한 불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다. 


≪오감으로 성경 읽기≫ (김동문, 포이에마) ★★★★

오감으로 사는 기독교인이야말로 진짜 기독교인이다. 오감으로 읽는 성경이라야 진짜 성경이다. 진리(眞理)와 진실(眞實)의 간극은 생각보다 멀다. 그 간극을 줄이기 위해, 시급한 것은 ‘다시’ 성경을 읽는 것이다. 머리로, 가슴으로, 손으로 읽는 것이다. 머리가 하지 못하는 일을, 가슴은 한다. 손은 그 열매(實)를 거둔다. 성경의 언어적 감수성, 풍토적 질감, 비릿한 냄새… ‘오감’ 속에서 성경의 진실은 매우 효과적으로 복원된다. 


≪뜻으로 본 통일 한국≫ (구교형, IVP) ★★★★

예언자의 파토스가 담긴 책이다. 온몸으로 투쟁했던 한 그리스도인의 사유와 행보가 담겼다. 너무나 이상적인 저자의 담론은 현실과 멀어 보이고 어떤 장은 논리적인 비약이 읽힌다. 그러나 어찌할 것인가. 예언의 속성이 그러한 걸. 광야에서 외치는 예언자의 선언이 그러하므로. 다만, 우린 다만 목하 그 ‘뜻’을 헤아려 청종할 뿐. 


≪광장에 선 기독교≫ (미로슬라브 볼프, IVP) ★★★★

이 책의 저자가 한국 사람이었다면 별 다섯을 주었을 것이다(한국적 좌표 설정이 아쉽다는 점에서 마이너스 별 하나). 복음에 대한 절대적 확신이 다원주의적 세상에서 어떻게 공동선을 이루어 나갈 수 있을까? 특히 우울하고 가슴 아팠던 2014년, 무력했던 기독교인들은 이 책부터 읽어야 한다. 현재로선 공적 신앙에 대한 가장 좋은 입문서. 


≪돈에서 해방된 교회≫ (박득훈, 포이에마) ★★★★

맘몬에 맞서 우리는 승리할 수 있을까? 자본주의 체제 속에 살면서, 그것을 거슬러 성서의 경제정의를 선택하며 살 수 있을까? 저자는 기복신앙을 반박하며 자끄 엘륄의 ‘하나님의 무력(無力)’을 인용한다. 구약 역사 속에서 하나님은 끊임없이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자발적 무력(non-puissance)의 실패다. 세상에서 가난과 소외, 고난과 박해를 당한다고 할지라도, 그 연약함 가운데 하나님나라의 정의를 선택하며 전진할 때 ‘믿음의 조상들’의 증언(히 11:35-37)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안에 가난한 사람이 없도록 구조적 악과 싸우는 것, 현실 정치에 동참하고 단호한 목소리를 내는 것, 정의로운 제도를 만들기 위해 창의적인 상상력을 발휘하는 것… 저자는, 그 역설의 희망에 우리를 초대하며 더불어 ‘길’이 되자고 말한다. 


≪죽음을 배우다≫(랍 몰, IVP) ★★★★

‘좋은 죽음’이라는, 삶을 추동하는 아름다운 꿈. 죽음이란 숙명에 맞서 연대하는 자들의 아름다운 삶. 


≪하나님 나라의 모략≫ (탐 사인, IVP) ★★★★

하나님의 역동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이다. 그 역동의 은밀함이란 점에서, 그것에 ‘모략’이라 이름 붙여도 되겠다. 우리 시대 하나님 나라의 지형도를 담고 있다. 다만, 아직 한국교회에선 이루어지지 않은 지형도, 따라서 지향해야 할 ‘좌표’로 유효하겠다. 탐 사인을 다시 만나 반갑다. 


≪설교자의 서재≫ (코넬리우스 플랜팅가 Jr., 복있는사람) ★★★★

‘세속적 책 읽기’는 비단 설교자의 설교 활용에만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세속적’이란 수식어는 참 촌스럽다. 촌스럽지만 굳이 다시 쓴다면)세속적 책 읽기는 기독교적 자아의 확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다. 세상의 모든 책은 ‘그 책’(성서)의 확장이다. 기독교가 책의 종교라고 할 수 있다면, 우린 일단 더 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 이 책, 설교자만 읽기엔 아깝다. 


≪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 포이에마) ★★★★

지금 행복해야 진짜 행복이다. 행복을 빼앗긴 이 땅의 아이들을 위한 곡진한 희망.


≪세월호와 역사의 고통에 신학이 답하다≫ (조민석 외, 대장간) ★★★

거칠고 턱없이 부족하지만, 가까스로 직무유기를 벗어난, 거의 유일한 시도. 


≪풍성한 삶의 기초≫ (김형국, 포이에마) ★★★

이 책을 제대로 공부한다고 하여 ‘풍성한 삶’에 다다를 수 있을까. 쉽지 않을 것이다. ‘일대일 제자훈련’이 성공했다면, 한국교회가 지금 같지는 않을 것이다. 사견을 덧붙이면, 복음과 삶(세상)의 균형이 아니라, 삶(세상)에 적극적으로 흡수되는 복음의 오롯한 결기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 책에 대한 적지 않은 불만이 있다. 불만은 여기까지. 그럼에도 서점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교재라는 점에서, 계속 ‘개정’되어 거듭거듭 출간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타협과 기대의 별점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