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_/뉴스앤조이_

"할 수 있는 것만 하는 건 사랑이 아니다" (뉴스앤조이, 130724)

Soli_ 2013. 7. 24. 14:50

뉴스앤조이에 기고한 글입니다(link).



"할 수 있는 것만 하는 건 사랑이 아니다"

[서평] 발칙하고 괘씸한 결혼 이야기 <와우 결혼>



부제가 "와서 보라! 우리의 결혼을!"이다. 발칙하다. 살짝 마음이 상한다.  


나도 그런 결혼 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 결혼하기 전, 결혼에 관한 각종 책을 섭렵했고, 무도한 권위를 휘두르던 선배들을 보며 남자의 반성문을 가슴속에 대필했고, 희생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는 뭇 여성들로 인해 충분히 분노했으니까. 거기다 자매를 위한 서비스 차원에서 "결혼예비학교"란 것도 이수했다. 하여, 나의 결혼 생활은 행복할 뿐만 아니라, 연인들의 교범이 될 것이며, 나의 일상은 아내의 칭찬으로 채워져야 마땅했다. 그래서 나도 "와서 보라! 우리의 결혼을!"이라고 외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정말이지 그럴 줄 알았다. 


맞벌이로 시작한 신혼 땐, 그래도 티가 덜 났다. 서로가 바빴고, 우린 뜨거웠으니까. 우리의 로맨스는 간혹 명절 때 시댁과 친정으로 오가며 삐걱대는 신경전이 고작이었다. 하지만 아이가 생기고 아내가 전업 주부의 삶을 시작하면서부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책으로 미처 닿을 수 없는 아내의 실존 앞에 나의 무식은 탄로 났다. 이론으로 겸비된 나의 필살기는 곧잘 좌절했다. 육아와 살림의 '일부'를 '봉사'하는 것으로, '간지' 나는 문장을 엮어 연서를 쓰는 것으로, 비상금을 털어 깜짝 이벤트와 선물을 선사하는 것으로 '멋진 남편'이 될 수 있으리라 착각했다. 두 번째 아이가 태어난 이후에야, 나의 각성은 비로소 시작되었다. 


결혼, 공부가 필요하다 


<와우 결혼>(김종필, 정신실 지음|죠이선교회 펴냄|2013년 6월)


그런데 이들의 자신감은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가. 보아하니 신혼도 아닌데. 며칠 괘씸한 마음으로 책을 노려보며 뜸을 들이다 드디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서문에 쓰인 저자들의 '이실직고'를 발견한 까닭이다.  


"와서 보라! 우리의 결혼을!" 이 충천한 자신감의 출처는 저희 안에 있지 않습니다.(8쪽)


그럼, 그렇지! 살짝 누그러진 마음에 시작한 독서는 소소한 즐거움이 너울거렸다. 단걸음에 달음질하여 책의 마지막까지 질주했다. 이번엔 부러웠고 질투가 났다. 그들은 '충천한 자신감' 대신 서로를 향한 솔직함과 겸손함을 겸비하려 노력했다. '생각의 차이'는, 치열한 공부와 다른 부부와의 연대를 통해 극복해 나갔다.

 

폴 투르니에는 결혼을 "단순히 한 번 반짝이고 사그라져 버리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경험하는 새롭고 경이로운 모험"이라고 정의했다. 결혼은 모험이다. 이 책의 저자 김종필(JP)과 정신실(SS)은, 결혼은 모험일 뿐만 아니라 또한 '공부'라고 정의한다. "부부는 결혼하는 순간 '하나 됨'을 선언하지만, 선언된 '하나 됨'은 죽음으로 헤어지는 날까지 이뤄가는 것"이므로, 서로를 배우고 받아들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그들은 그것을 '공부'라고 이름 붙였다.


나는 여러 면에서 JP와 비슷했다. MBTI 성격유형 검사 결과가 'INTJ'라는 점도 그렇고(어쩌면 MBTI라는 방식으로 성격유형을 구분하는 자체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도 비슷할지 모른다), 대화 형식으로 나눠 서술된 부분 중 JP의 속내가 그러했다. JP가 SS에 대한 서운한 마음을 내비치거나 억울한 마음을 말할 때,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까지도 비슷했다. 좀 나쁘게 말하면, 비슷했으므로 건질 게 가물었다. 반면, SS의 서술 영역엔 도드라진 밑줄이 난무했다. SS와 달리, 마음이 상하면 침묵 모드에 돌입하는 내 아내의 속마음을 읽는 듯했고, 간혹 내 탄로난 무지에 부끄러웠다. 


맞다. 공부가 필요하다. 결혼 생활엔 공부가 필요하다. '부부이기 때문에 피할 수도 없고, 사랑하기 때문에 정복할 수도 없으므로' 부부는 서로의 존재를 사랑과 인내로 탐사할 필요가 있다. 


보통의 결혼 관련 책들은, 은근슬쩍 중간에 다소 진지하고 경직된 언어로 '부부의 성관계'를 다룬다. 생물학적, 사회적, 신학적 함의를 다루며 결혼의 완성이자 최고 미학으로 그것을 칭송하지만, 독자들의 심기는 그만 차갑게 내려앉는다. (그러니 그 책들이 그리 안 팔리는 것이다!) 근데, 이들은 책으로 중매해, 책으로 연애했던 다소 '재수 없는' 스토리를 들려준 뒤, 결혼에 골인한 다음 이야기부턴 곧장 '부부의 성관계' 문제로 돌진한다. (2장의 소제목은 "공부하는 성에서 즐기는 성으로"이다. 즐기는 성!)


평등한 부부가 되기 위한 훈련은 침실에서부터 시작된다. 두 사람이 한 몸을 이루는 의식을 통해, 자기 몸을 내어 주는 헌신과 지극한 정성으로 상대와의 합일을 이루는 연합을 실천하는 것이다. 절정의 에로티시즘은 그 헌신과 연합에 대한 최고의 상찬으로 주어진 축복일 것이다. JP는 이 대목에서 "곧장 욕구만을 채우려고 했던" 천박한 남자의 욕망을 성찰한다. 그리고 "용납과 받아들임, 고백과 기댐"을 다짐한다. 남자의 용기는 성찰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결혼은 합의와 협의를 이루어 가는 과정 


그들은 '기독교적 세계관으로 살아가기'와 '페미니즘적으로 살기'라는 밑그림을 그렸다. 세계관을 공부한다는 것과 그 세계관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층위는 사뭇 다르다. '페미니즘적으로 살기'란 명제는, 한국의 지극히 평균적인 '시댁 세상'(오죽하면 '시월드'라는 신조어가 등장했겠는가!)에선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그래서 JP와 SS는 종종 싸우고 갈등하고 시행착오를 겪는다. 남자 독자와 여자 독자들은, 각각의 진영에서 그들의 싸움에 한껏 휘말릴 때, 그들처럼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싸운 만큼 서로를 알 수 있을 것이다. 


JP와 SS가 비교적 원만하게 합의에 이르는 지점은 자녀 양육 문제이다. '준비된 JP'를 '선도적 SS'가 이끄는 모양새다. 그들은 '평등한 부모'를 꿈꾸며, 진정한 양육은 부모의 '행위에 의해서'가 아니라 '존재에 의해서'라는 점에서 합의에 이른다. 따라서 양육 기술을 익히는 것 못지 않게 부모 됨을 공부하는 것이 더욱 절실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JP와 SS는 인식의 수용 방식과 소통 방식의 차이에서 '이견'을 발견하고, 상대의 방식을 수용함으로 극복해 나갈 것을 결의한다. 그럼에도 그들은 앞으로도 종종 실패하여 다투고 갈등할 것을 짐작한다. 낭만 어린 기대보다는 객관적 한계와 현실을 인정하고, '냉정과 열정' 사이에서 지켜야 할 '싸움의 법칙'도 챙긴다. 그렇게 그들은 '함께 사는 방식'에 차츰 합의에 이르고 끈질긴 협의를 도모한다. 


우리는 가정의 영적인 가장은 두 사람이 함께하기, 또는 더 재능 있는 것에서 리더십의 역할을 분담하기에 합의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 집의 비전 파트 가장은 남편이다. 남편은 나무(구체적 사실)보다는 숲(의미, 비전)을 보는 데 탁월하니까. 나는 실무 파트의 가장. 남편이 비전을 제시하면 내가 이런저런 아이디어로 그 비전을 현실화시키는 역할을 하면 나름 완벽한 리더십의 통합이다.(85쪽)


배우자는 나의 가장 절실한 타자 



SS는 "'가장이라는 신화'에 당신을 꿰맞추느라 안간힘을 썼던 것 같아"라고, JP는 나는 기껏 "무늬만 페미니스트"였다고 고백한다. 그들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비단 '행복한 결혼 생활의 비결' 정도가 아니다. 그것은 결국 타자를 향한 사랑의 기본이다. 다만 배우자는 나의 가장 절실한 타자일 뿐이다. 특히, SS의 다짐은 이 메마른 광야 같은 세상을 살아가는 단 하나의 성찰이자 결기가 되어야 마땅하다. 


이제는 말할 수 있다. 할 수 있는 것만 하는 것은 사랑이 아니다.(199쪽)


JP와 SS를 향한 '괘씸'과 '재수 없음'의 혐의는 취하한다. 그 이유는 첫째, "와서 보라!"라고 한 것은, 결국 그들의 연약함을 이끄시는 하나님의 사랑이자 은혜이므로. 둘째, 그들의 이야기만으로도 충분히 유익한데, 그들이 제시하는 반짝이는 추천 도서 목록을 덤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